단체선물 다양한 상품으로 확인하자!
단체선물 다양한 상품으로 확인하자!
Blog Article
따뜻한 햇살을 맞으며 야외에서 독서삼매경에 빠져보는 것은 어떨까.
서울야외도서관이 동절기 휴장을 마치고 ‘세계 책과저작권의날’인 23일부터 운영을 본격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매년 큰 인기를 끌어온 광화문광장 ‘광화문 책마당’과 청계천 ‘책읽는 맑은냇가’가 이날 개장하고, ‘책읽는 서울광장’은 어린이날을 맞아 내달 four일 문을 연다.
야외도서관은 상반기(four~6월)와 하반기(9~11월 초)로 나눠 광화문, 청계천, 서울광장 세 곳에서 금·토·일 주 three일씩 운영한다.
올해 출범한 회원 one만명 규모의 공공북클럽 ‘힙독클럽’도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회원들은 ‘리딩몹’ ‘노마드 리딩’ 등 새로운 형태의 독서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개인 독서기록이나 필사, 완독인증, 추천 등을 통해 독서 마일리지를 쌓으며 다양한 등급별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작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특수가 있었음에도 지난해 국내 주요 출판사들의 총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떨어지는 독서율에 책 판매가 더 줄어든 것이다.
대한출판문화협회(회장 윤철호)가 21일 내놓은 ‘2024년 출판시장 통계’에 따르면 주요 seventy one개 출판기업의 지난해 총매출액은 약 four조 8911억원으로, 전년 대비 0.one%(약 52억원) 감소했다. 책값 상승에도 매출이 줄었다는 것은 책 판매가 감소했다는 의미다. 다만 이들의 총 영업이익은 약 1468억원으로 전년 대비 36.4%(약 392억원) 증가했다.
출판 부문별로 매출액을 살펴보면 교육도서 출판사(forty two개사)의 매출액은 소폭 감소했지만, 단행본 출판사(22개사) 및 만화·웹툰·웹소설 출판사(8개사)의 매출액은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모든 부문에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특히 만화·웹툰·웹소설 출판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크게 증가했다.
주요 교육도서 출판사(forty two개사)의 2024년 총매출액은 약 4조 1622억원으로 2023년에 비해 1.7% 감소했으며, 영업이익 합계는 약 915억원으로 eight.7% 증가했다. 교육도서 중 교과서·학습참고서 부문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1.8% 감소했다.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를 둘러싼 혼란이 업계에 어떤 파장을 가져올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주요 단행본 출판사(22개사)의 2024년 총매출액은 약 4653억원으로 전년 대비 four.three%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합계는 약 431억원으로, one hundred and five.3% 증가했다. 특히 작가 한강의 책을 출간한 ㈜ 문학동네와 ㈜창비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모두 크게 올랐으며, 노벨문학상 특수를 누린 것으로 보인다.
최근 만화 붐으로 주요 만화·웹툰·웹소설 출판사(8개사)의 2024년 총매출액은 약 2635억원으로 전년 대비 22.one% 증가했다. 2024년 영업이익 합계는 약 123억원이며, 385.nine% 증가했다. 부문 1위로 올라선 ㈜디앤씨미디어는 IP 수출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부터는 서울야외도서관 외에도 서울 전역에서 책읽는 풍경을 자연스럽게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강서, 광진, 성북 등 fourteen개 자치구에서도 공원, 도서관 앞 야외마당을 활용한 ‘자치구 야외도서관’을 확대 운영한다.
도서, 돗자리, 북라이트, 캠핑의자 등으로 구성된 ‘북크닉 키트’ 1000여개를 서울시 초중고, 대학교, 문화시설 등에 대여해주는 ‘서울팝업야외도서관’도 시작한다. 올해 상반기 one차 모집에만 fifty개 기관이 신청했다.
서울야외도서관의 이용 편의성도 대폭 강화한다. ‘책읽는 서울광장’에서는 광장 서가에 비치된 큐레이션 도서를 직접 배달해주는 ‘퀵서비스’와 다 읽지 못한 책을 다음 방문에 이어볼 수 있도록 단체선물보관해주는 ‘킵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내달 4~6일 어린이날 연휴를 맞아 다양한 야외도서관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레고코리아와 협력한 독서놀이공간 ‘레고 라이브러리’를 비롯해 ‘해리 포터’ 의상을 입고 영국 문학과 문화를 배우는 ‘여행도서관’ 부스 등도 운영한다. 매년 큰 관심을 받아온 창의놀의터도 확대 운영된다.
마채숙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서울 전역이 펀(Enjoyable)한 독서로 들썩이는 ‘책읽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며 “서울시도 신개념 독서문화를 선도해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계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